급성기 후 외상성 뇌손상 주의력 재활 의뢰
  • 직업, 병전 성격, 학력·자세한 사고정황·외상 당시 GCS 점수·LOC, PTA 여부 및 기간
  • 기타 과거력 (흡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수상 전 두통, 수상 전 정신과적 병력, 부작용)
  • 환자 동기, 주변 지원 상태·소송 상태·물질사용 과거력·주의력 저하 유발 약물 복용 여부 검토
  • Cranial nerve function test
  • Ohter related exams
  • Cerebellar function test
  • Balance
  • Gait
  • Manual Muscle Test
  • Sensory function
  • Deep Tendon Reflex

외상성 뇌손상의 병리해부학적 소견 확인 및 성질 결정

(공통)기존 구조적 MRI

  • 출혈성 외상성/미만성 축삭 손상 (TAI/DAI)
  • 작은 크기의 피질 좌상 (cortical contusion) ∙소량 경막하 축적 (extra-axial collection)

예후 예측

(보조)최신 MRI

경도 외상성 뇌손상/뇌진탕

DTI (ROI, voxel, MRS, fMRI)

경도, 중등도, 중증 외상성 뇌손상

  • MRI brain volumetry
  • automatic multimodal segmentation of MR volume
  • 연속적, 객관적인 모니터링
  • 특정 기능 장애와 병리 평가
  • 정량적 평가
  • 재활, 치료 중재 방향 제공

(보조)전기생리검사

  • 중등도~중증 외상성 뇌손상
  • 손상의 중등도 평가 ∙예후 예측
  • 회복 또는 악화 모니터링
  • 뇌손상 감지 ∙외상 후 경련 진단

뇌파 (Conventional EEG), MEP, SEP, BAEP, VEP

  • 자기보고식 평가: 피츠버그 수면질 검사(PSQI) ∙불면증 심각성 척도(ISI)
  • 자가 보고식 평가가 어려운 중등도~중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 : 수면각성활동량검사 (Sleep actigraphy) 를 고려할 수 있음
  • 약물치료 : Non-Benzodiazepine Sedative Hypnotics (zolpidem, eszopiclone), TCA (amitriptyline), SARI (trazodone), prazosin, prolonged-release melatonin (Circadin)
  • 비약물치료 : 올바른 수면 위생 방법, 생활 습관 개선 등 행동 치료
  • 수면장애 지속 : 수면 전문가 의뢰

지속적 초조, 공격성

  • 자가보고식 :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STAXI),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 ((S-)UPPS-P)
  • 평가자 평가: 초조행동척도 (ABS), (수정) 외현적 공격성 척도 (OAS), 신경정신행동검사 (NPI)
  • 약물치료 : mood stabilizer (valproate), SSRI (sertraline, fluoxetine, escitalopram, citalopram), atypical antipsychotics (quetiapine, olanzapine, aripiprazole), low-dose haloperidol, (지속적인 경우) beta-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s (propranolol), benzodiazepines (lorazepam, alprazolam, diazepam, clonazepam)

우울증

  • 자가보고식 평가 : 벡 우울 척도(BDI),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 평가자 평가 :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HAM-D)
  • 약물치료 : SSRI (sertraline, fluoxetine, escitalopram, citalopram), SNRI (venlafaxine, duloxetine, milnacipran), TCA (amitriptyline), Buproprion, Stimulants (methylphenidate)
  • 비약물치료 : 전기자극요법(ECT), 경두개 자기자극술(TMS), 인지행동치료(CBT), 증상 적응(환자 교육, 정보 반복 제공, 대처훈련 등) 등 정신치료적 중재

불안장애

  • 자가보고식 평가 : 벡 불안척도(BAI), 상태불안척도 (STAI)
  • 평가자 평가 : 해밀턴 불안척도 (HAM-A)
  • 약물치료 : SSRI (sertraline, fluoxetine, paroxetine, citalopram), Anxiolytics (buspirone), Benzodiazepines (lorazepam, alprazolam, diazepam, clonazepam)
  • 비약물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동기강화상담, 바이오피드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자가보고식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점검표(PCL-5)
  • 평가자 평가 : 임상가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평가척도 (CAPS)
  • 약물치료 : SSRI (fluoxetine, paroxetine, sertraline), SNRI (venlanfaxine), SARI (trazodone), TCA (amitripyline, imipramine), MAOI (phenelzine), prazosin
  • 비약물치료 : 인지행동치료 (CBT), CogSMART

피로

  • 자가보고식: 피로 증상 척도(FSS)
  • 약물치료: CNS stimulant (methylphenidate, modafinil), ChEI (donepezil)
  • 비약물치료: 피로 줄이기, 균형 이루기, 스트레스 관리, 과부하 줄이기 등 일상 교육

전반적인 인지기능 선별검사

(공통)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보조)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 인지기능장애의 중증도 평가
  • 언어 관련 기능, 시공간 기능, 기억력, 전두엽/집행 기능으로부터 주의력을 감별

(공통) 신경심리검사집: 서울신경심리검사(SNSB) 또는 한국판 CERAD 평가집(CERAD-K)

주의력 장애의 특성과 범위를 확인

(공통) 지필 또는 전산화 개별 주의력 검사


  • 각성도: 전산화 경계력검사(청각, 시각)
  • 주의력 및 지각 : 지필 무시증후군검사(Line Bisection Test, Albert’s Test 또는 Cancellation test)
  • 시각적 주의력, 지속적인 주의집중력 : 지필 또는 전산화 기호잇기검사 A, 전산화 시각지속검사
  • 주의력 전환, 작업기억력: 지필 또는 전산화 기호잇기검사 B
  • 청각적 주의력과 단기 기억 : 지필 또는 전산화 숫자/단어 바로 따라 외우기 검사
  • 청각적 기억력과 작업 기억력 : 지필 또는 전산화 숫자/단어 거꾸로 따라 외우기

주의력 장애가 일상생활과제 수행에 끼치는 영향과 양상을 확인

(보조) Rating Scale of Attentional Behavior, Moss Attention Rating Scale

주의력 장애가 사회 참여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
· 재활 결과 평가


  • · (공통)·주기적 인지기능 평가(K-MMSE, 신경심리검사집 또는 개별주의력 검사, MARS) · 일상생활동작 및 장애정도(K-MBI)
  • · 치료 경과 및 훈련 과제 수행의 성공 여부를 기록
  • · 사회복귀 (가정복귀, 직업복귀)·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SF-36, EQ-5D)

주의력 장애 중재 전략
Remediation of attention deficits

(목표)반복훈련을 통해 도움, 외적 전략 없이도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함

(목표)실생활의 과제들로 확장하여 일상생활동작 능력 향상에 기여함

내재화(internalization)

일반화(generalization)

메타인지전략 훈련
Metacognitive strategy

(목표)느린 정보 처리능력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 처리속도 회복

(목표)분할 주의력과 작업 기억력 문제를 보완

Time Pressure Management

Working Memory Trainig: N-back

직접적인 주의력 훈련
Direct attention training

(목표) 주의력의 5가지 영역에 대하여 청각 및 시각 훈련을 포함한 전산화 프로그램 제공

(목표) 동시 주의력 향상을 위한 이중 과제 훈련

Attention Process Training (APT-III)

Dual Task Training

보상적 전략
Compensatory strategy

(목표)일상생활에서 주의력 장애가 끼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주변 환경과 목표-훈련과제를 조절함
중증도가 심할수록 과제 특이적 접근법, 외적 전략을 주로 활용
∙무오류학습 errorless learning ∙시간차회상 spaced retrieval ∙연쇄기법 chaining 활용 고려

전산화인지재활훈련(보조)

(목표)치료사의 참여 및 지시에 따라서 환자의 수행 수준에 따라 작업 난이도를 조정하며 피드백과 객관적인 수행 데이터를 제공

Reha-Com, Com-Cog, Cog-Rehab
탈맥락화된 전산화 주의력 과제에 환자 노출 및 훈련 반복은 지양

약물치료

(목표)주의력 및 정보처리속도 회복

CNS stimulant (methylphenidate) 0.3mg/kg bid

  • methylphenidate의 효과가 없거나 유지가 어려운 경우 이차적으로 사용 고려 :
    • 1)catecholamine-augmenting agents (amantadine, bromocriptine, levodopa, bupropion, atomoxetine, modafinil)
    • 2) 주의력 장애가 cholinergic deficit을 반영하면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mine)
    • 3)NMDA receptor antagonist (memantine, amantadine)
    • 4)우울, 불안 등 다른 정서기능장애가 주의력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serotonergic augmentation
  • 약물 단일 요법의 효과가 부분적인 경우 다른 기전의 이차 약물을 추가하여 작용기전을 보완

다학제 주의력재활치료

  • 작업치료, 일상생활동작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사회복귀 상담, 간호, 임상심리
  •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및 인지행동치료, 그룹치료 (미술치료, 심리치료, 음악치료 등)

환자 보호자 가족 교육 및 환경 조절

(목표)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주의력 장애의 지속적인 개선 및 일반화 촉진
주의력에 대한 교육, 주변 환경 확인 및 조절 교육, 실생활 전략 적용 교육, 가족과 보호자 상담 및 치료

경도~중등도 주의력 장애

중증 주의력 장애